본문 바로가기
한복에대하여

함싸는법

홈  >  한복에대하여  >  함싸는법
전통혼례
함 문화

함의 유래
세월에 따라 결혼 풍습은 많이 달라졌지만, 함은 여전히 그 의미를 간직한 채 오늘도 백년가약을 맺는 남녀에게 선물 이상의 위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신부측 사람들은 함진아비 일행을 마중 나오는데, 함진아비는 인색하게 한 걸음 두걸음 떼다가 힘든 시늉을 하며 길거리에 주저 앉기도 합니다. 신부측 사람들은 함진아비 앞에 술상을 내거나 돈을 놓기도 하고, 신부 친구들이 나와 노래를 부르기도 하며 함진아비의 비위를 맞추는 등 온갖 진풍경이 벌어집니다.

우여곡절 끝에 함진아비가 신부의 집에 도착하면 부정한 것을 없앤다는 주술적 염원으로 박으로 만든 바가지를 깨고 집안으로 들어간다. 함이 팔리면 모두 흥겹게 먹고 마시며 신랑신부의 결혼을 축하하고, 그들의 앞날에 복을 빌어 주었습니다.

전통 혼례에서의 함 전통혼례에서 함은 혼사를 허락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신랑 댁에서 신부 댁으로 보내는 일종의 예물이었습니다.

예단
상의하기

함속에 들어가는 품목
전통 혼례에서 함에 들어가는 품목은 오방주머니와 채단, 혼서지가 기본입니다. 오방 주머니는 우리나라 고유의 상서로운 색에서 기인했는데, 분홍색주머니는 자손의 번창을 의미하는 목화씨를 담아 서북쪽에, 액을 물리치는 팥을 넣은 붉은색 주머니는 서남쪽에, 며느리의 고운 심성을 바라며 노란 주머니에 노란 콩을 넣어 중앙에 놓았습니다.

함에서 가장 중요한것은 혼서지라 할 수 있습니다. 혼서지는 귀하게 키운 딸을 보내줘서 감사하다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신랑의 아버지, 즉 집안에서 제일 높은 남자 어른이 직접 쓴 편지로 귀밑머리 푼 본처만이 시아버지에게 직접 받을 수 있었습니다.

함담는 방법과 함싸는 방법
함을 담을 때는 바닥에 한지나 고운 종이를 깔고 네 귀퉁이와 중앙에 오방 주머니를 놓습니다. 그다음 신부에게 주는 예물인 거울과 부부의 백년해로를 기원하는 의미로 청·홍 보자기에 원앙이나 기러기 한 쌍을 싸서 넣습니다. 이어서 청실홍실로 싼 채단을 넣되, 청실이 위로 오도록 합니다. 중간 뚜껑을 닫고 그위에 혼서지를 놓는 것으로 마무리합니다.

완성된 함을 포장할때는 보자기의 홍색이 바닥쪽을, 청색이 하늘쪽을 향하도록 놓고 중간에 함을 올려놓습니다. 함 보자기의 마주 보는 대각선 방향의 두 귀퉁이를 모아 한번 엇갈리도록 틀어 주고, 나머지 두귀퉁이도 같은 방식으로 틀어줍니다.

계속해서 서로 교차하여 상투 모양이 되도록 올려준 다음, 남은 보자기 귀퉁이 중 제일 긴자락으로 상투를 감싸 돌려 아래서 위로 꼬리를 빼주는데 이때 매듭은 짓지 않습니다. 네 개의 자락은 원앙의 머리, 날개, 꼬리 모양이 되도록 잘펴서 정리 해줍니다.

시대 / 트렌드에 따른 함의 변화
시대에 따른
함의 변화

신부에게 주는 실용적이면서도 상징적인 선물이자 한 가족으로 맞는 의식인 전통적인 함의 의미는 현대에와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함에 들어 가는 품목은 상징적인 의미보다 실용적인 의미가 강조된 품목들로 구성됩니다. 시대에 맞지 않는 품목, 즉 원앙이나 오방주머니, 거울, 혼서지, 사주단자등을 대폭 간소화 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아예 생략하기도 합니다.

트렌드를
반영한 현재 함

현재의 함은 상징성을 중요시하는 전통적인 품목 이외에 추가된 품목이 있습니다. 주로 화장품이나 지갑이나 가방, 여성 정장등이 포함된다. 구두는 원래함에 포함되지 않는 품목지만 최근에는 신부가 꾸밈비로 구입해 따로 받기도 합니다. 또 함잡이를 하지 않고 신랑이 함을 가지고 오는 경우가 많으며, 이럴때는 보통 전통 오동나무함보다 실용적인 여행 용트렁크나 슈트케이스를 보자기로 포장하고 소창을 묶어 함 상자를 대신합니다.

예단 품목
함 보내고 받는법

함을 보내는 시기는 보통 결혼식을 올리기한달전에서 일주일 사이로 정하는데, 최근에는 결혼식 일주일 전 주말 저녁에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음과 양이 교차하는 시간이 되면 함진아비는 함을 내려 놓지않고 신부집까지 가져가는데, 함진아비는 신랑의 친구중 혼인을 하여 금슬이 좋고 첫 아들을 낳은 사람만이 할 수 있었습니다.

신부집에서는 병풍을쳐 차단된 공간을 만든 뒤 붉은 보자기를 깐 소반위에 정화수와 봉치떡을 시루째 얹어 놓았습니다. 함진 아비가 함을 시루위에 내려 놓으면 혼주는 함에서 혼서지를 꺼내어 읽고, 함은 신부 일행이 기다리는 방으로 들여 보냈습니다.

함을 받을 때 놓은 봉치떡은 찹쌀에 팥고물을 넣고 가운데 대추와 밤을 얹은 것인데, 신부는 이날 봉치떡을 따로 떼어 놓았다가 혼인전날에 먹는 것이 풍습이었다. 아들 낳기를 간절히 기원한 풍속에서 비롯된 것 이다.

예물보다 값진 혼서지

함을 쌀때 마지막 단계에서 가장 위에 올리는 것이 바로 혼서지입니다. 혼서지는 신랑의 아버지가 신부의 아버지에게 써보내는 편지로 귀하게 키운 딸을 보내 준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을 정중하게 담고 있습니다. 혼서지는 깨끗하고 두꺼운 한지에 쓰며 길이 36cm, 폭60cm 정도의 아홉칸으로 접어 양쪽을 한칸씩 비우고 일곱칸에만 작성했습니다.

신부집에서는 병풍을쳐 차단된 공간을 만든 뒤 붉은 보자기를 깐 소반위에 정화수와 봉치떡을 시루째 얹어 놓았습니다. 함진 아비가 함을 시루위에 내려 놓으면 혼주는 함에서 혼서지를 꺼내어 읽고, 함은 신부 일행이 기다리는 방으로 들여 보냈습니다.

함을 받을 때 놓은 봉치떡은 찹쌀에 팥고물을 넣고 가운데 대추와 밤을 얹은 것인데, 신부는 이날 봉치떡을 따로 떼어 놓았다가 혼인전날에 먹는 것이 풍습이었다. 아들 낳기를 간절히 기원한 풍속에서 비롯된 것 이다.